Doosan Governor DGC-2013 User manual

DGC-2013
Governor Controller Unit
September 2013 Ver. 1.00
Owner's Manual

DGC-2013은 엔진속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하기위해 PID제어를 바탕으로 설계된 고성능의
전자장치이다. 이 제어장치는 단독운전(Isochronous 모드) 및 병렬운전(Droop 모드)이 가능하다.
컨트롤러 개요
2
9 8 7 6 5 4 3 2 1
A B C D E F G H J K L M N P
Crank Run Over speed
Power Pick-up Crank Run Over speed Starting
Fuel
Speed
Ramping
Idle
Droop
Gain StabilitySpeed
Test
Battery
Actuator Pick-up Speed Trim Droop
AUX 10V
Idle OFF
D1 D2
ON
접지
볼트
『그림1 』 외형도 및 명칭

●
물이나 습기로부터의 피해에 대비하여 제어반의 벽면에 수직으로 장착하고, 기기 주변에 발열체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장기간(1개월 이상 또는 결로현상 발생시) 습도에 노출
시에는 노출된 습기로 인하여 내부 회로의 저항값의 변동이 발생되어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으니 사용전 충분히 건조한 후 사용한다.
●
과속방지를 위해 전자식 가버너의 액츄에이터 기능만을 의지하지 말고 이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제2의 엔진정지장치, 예를 들어 연료차단 솔레노이드를 갖추는 것을 권장한다.
●
각 조정 저항의 전면의 설정구간 표시는 엔진별 평균 설정범위로 당사의 엔진별 설정은 설정구간
내에서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
●
EMC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주변의 불요 전자파로부터 컨트롤러의 피해를 최소화 하려면, 컨트롤러를 접지되어 있는
금속벽면에 장착하거나 실드된 금속함을 사용 하시고 모든 배선은 실드선을 사용하고 실드부는
한점에 접지 시킨다. 또한 상기 기술된 전자파 방지 설치방법을 이행치 않을 경우 발생되는 EMC
관련된 제품 품질에 대한 문제는 보증할 수 없다.
<< 조정 모드 항목별 설명 >>
➊ 스피드(Speed) 조정 저항 : 엔진의 가동속도를 조정.
➋ 게인(Gain) 조정 저항 : 게인 조정(감도 조정).
➌ 스터빌러티(Stability) 조정 저항 : 안정도 조정(응답성조정).
➍ 스타팅퓨얼(Starting Fuel) 조정 저항 : 엔진 기동시의 연료량 조정.
➎ 스피드램핑(Speed Ramping) 조정 저항 : 엔진 기동 후, 정격속도에 도달되는 시간조정.
➏ 아이들(Idle) 조정 저항 : 엔진 초기속도 조정.
➐ 드룹(Droop) 조정 저항 : 드룹운전에서 드룹량(%) 조정.("드룹량" 참조-Page.10)
➑ 미분조정스위치(Dip Switch) : 미분기능 선택 조정 스위치 ("불안정성" 참조-Page.12)
➒ 오버스피드(Over Speed) 램프 조정 저항 : 엔진 과속도 램프 및 릴레이 동작 시점 조정.
➓ 런 램프(Run Lamp) 조정 저항 : 엔진가동 램프 및 릴레이 동작 시점 조정.
크랭크 램프(Crank Lamp) : 초기속도 표시 램프 및 릴레이 동작 시점 조정.
TB1 : 외부 입출력 결선을 위한 단자대.
TB2 : 엔진 과속도용 릴레이 접점 출력 단자 (용량 - 2A/125VAC).
TB3 : 엔진 가동속도용 릴레이 접점 출력 단자 (용량 - 2A/125VAC).
TB4 : 엔진 초기속도용 릴레이 접점 출력 단자 (용량 - 2A/125VAC).
3
컨트롤러 설치(장착) 및 주의사항

4
조정(튜닝) 순서 및 방법
➍
➎
➏
➐
Starting
Fuel
Speed
Ramping
Idle
Droop
OFF
D1 D2
ON
➑
▹ CASE 전면 가변저항의 Guide range는 두산인프라코어(주) 엔진에 적용시 조정 범위임.
▹ 가변저항 조정 공구는 크기에 맞는 (-)자형 미세 드라이버를 사용하시오.(저항 파손 주의)
▹ 엔진 기동전에 모든 외부기기의 결선 상태가 정확한지 점검하시오.
▶엔진 시동 특성 조정
1. G-M 단자 연결 (엔진 초기속도(Idle) 스위치 ON).
2. ➍ Starting Fuel
•조정목적 : 설치된 엔진의 상태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연료량으로 조정하기 위함.
•추천방향 : 1시 ~ 5시 방향
•이상조정시 문제점 : 7시 ~ 1시 방향은 연료량이 부족하여 시동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5시 이상 방향은 시동시 연비가 나빠지고 배기 가스가 많아질 수 있음.
3. ➎ Speed Ramping 가변 저항을 9시~12시 방향에 조정한다.
•시계방향( )으로 돌릴수록 정격속도(Run Speed)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진다.(최대 10초이상)
•조정 값이 너무 작으면 급격한 속도 증가로 오버슈트(Overshoot) 및 헌팅이
발생될 수 있다.
4. 엔진 기동 실시 : Start 모터 기동 조작.
▶엔진가동 속도 및 초기속도(Idle) 속도 조정
5. 엔진 가동속도(주파수) 조정.
•엔진 기동 후, G-M 단자 연결 해제. (초기속도 스위치 OFF)
•무부하 상태에서, ➊ Speed 가변 저항으로 속도(주파수)를 조정. 시계방향 ( ) RPM 증가 /
반시계방향( ) : RPM 감소
6. 엔진 초기속도 조정.
•다시 초기속도 스위치 ON 후, ➏ Idle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속도를 800rpm으로 조정한다.
•조정목적 : 엔진 기동 후 예열기능 및 기동시 초기 연료량을 조정하기 위함.
•추천방향 : 12시~3시 방향. 엔진 기종별 또는 정격 RPM별로 방향 차이가 있으나 엔진
RPM으로는 800RPM 을 추천한다.
•이상조정시 문제점 : 초기 시동 성능이 저하되며 예열시 연료 과다소비 발생.
◈ 엔진의 시동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Idle 속도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가동속도 조정 후에는 “Idle 모드”의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반드시 초기속도를 조정해 두어야 한다.

5
▶가버너 특성 조정
7. G-M 단자 연결 해제 초기속도 (스위치 OFF)후, 엔진이 가동속도 (RUN Speed)에 도달 상태에서 조정.
8. 게인(Gain)조정.
•무부하 상태에서 엔진이 불안정해질 때까지 ➋ Gain 가변저항을
시계 방향( )으로 돌린다.
•➋ Gain 가변저항을 반시계방향( )으로 서서히 돌리면서 RPM이
가장 안정된 위치에서 멈춘다.
•안정성을 위해 ➋ Gain 가변저항을 20분(10°)정도 반시계 방향( )으로 더 돌린다.
9. 스터빌리티(Stability) 조정.
•무부하 상태에서 엔진이 불안정해질 때까지 ➌ Stability가변저항을 시계방향( )으로 돌린다.
•➌ Stability 가변저항을 반시계 방향( )으로 서서히 돌리면서 RPM이 가장 안정된 위치에서 멈춘다.
•안정성을 위해 ➌ Stability 가변저항을 20분(10°) 정도 반시계 방향( )으로 더 돌린다.
▶ 기타 조정
10. 엔진가동 램프(Run Lamp) ON 시점 조정.
•엔진가동 속도에서 ➓ Run 가변 저항을 반시계 방향( ) 으로
엔진가동 램프가 켜지는 시점까지 돌린다.
•램프의 깜박임(정격 속도에 설정되면 부하변동시 on/off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90° 정도 더 돌린다.
11. 초기속도 램프(Crank Lamp) ON 시점 조정.
•초기속도에서 Crank 가변 저항을 반시계 방향( )으로
초기속도 램프가 켜지는 시점까지 돌린다.
•램프의 깜박임(정격 속도에 설정되면 부하변동시 on/off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90°
정도 더 돌린다.
12. 엔진 과속도 램프(Overspeed Lamp) ON 시점 조정.
•엔진가동 속도에서 Test 버튼 ( )을 누르고 ➒ Over Speed 가변저항을 반시계 방향( )
으로 엔진 과속도 램프가 켜지면서 엔진이 셧오프(shutoff) 될 때까지 서서히 돌린다.
•엔진 가동속도 보다 15% 정도 높은 속도에서 세팅된다.
※ 모든 조정이 완료 후, 엔진을 재기동하여 시동특성, 무부하 특성, 부하특성이 안정되는지 확인한다.

6
▶ Starting Fuel 조정 (배기가스 최소화하는 방법)
•초기속도 스위치 ON→초기속도를 800RPM에 조정→엔진의 속도가 떨어질 때까지 ➍ Starting Fuel
가변저항을 반시계 방향( )으로 돌린다.→안정성을 위해 다시 시계 방향 ( )으로 15° 정도 더
돌린다.
◈ 엔진 기동시에 매연이 심하지 않으면, ➍ Starting Fuel 조정은 5시 방향에서 높게 설정할 것을 권한다.
너무 낮게 설정할 경우, 시동성이 나빠지고 시동 직후에는 Overshoot 현상이 발생되어 엔진과속도
설정치를 초과할 수도 있다.
▶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배선결선 상태가 이상 없으면 → 모든 조정값은 "출하시 조정상태"에 맞춘다.
(표2. 참조 -Page.10) → 재 기동(Start)
•해결되지 않으면 : 콘트롤러 하드웨어 이상일 가능성 있으므로 컨트롤러 교체.

7
『 그림2 』 결선도
A B C D E F G H J K L M N P
Speed
Ramping
Idle
Droop
GainSpeed
Battery
Actuator
접지
볼트
Pick-up Speed Trim Droop
AUX 10V
Idle OFF
D1 D2
ON
A B C D E F G H J K L M N P
Speed
Ramping
Idle
Droop
Gain StabilitySpeed
Battery
Actuator
접지
볼트
Pick-up Speed Trim Droop
AUX 10V
Idle OFF
D1 D2
ON
10V POWER
부하 공유기
자동 동기장치
<병렬운전용 보조기기>
3
2
1
아이들링 스위치
드룹 스위치
5㏀
점퍼
ON
액튜에이터
실드선 (절연 튜브에 씌움)
1.5㎟ 2C shield
1.5㎟ 2C
속도센서
마그네틱
1.5㎟ 2C
스위치
BATTERY
24V
퓨즈(10A)
OFF
ONOFF
1
2
3
4
5
9
10
8
7
6

8
외부 결선
▹ 『그림2.』의 결선도를 참조하여 연결한다.
▹ 모든 배선은 규정된 1.5㎟ 이상의 전선을 사용하고, 실드 전선을 사용한다.
▹ 실드 전선을 사용시 『그림2』에서 표기되지 않은 모든 실드선은 반드시 프레임 접지시켜야 한다.
① 액튜에이터의 배선은 TWIST된 케이블을 사용해야 된다. 결선 후, A-B간 저항값은 3.5Ω~4.5Ω
이어야 한다.
② 마그네틱 속도 센서의 케이블은 반드시 "실드(Shield)전선"을 사용하고, 실드부위는 반드시 단자
D에 같이 연결한다. 이 실드 부위가 엔진에 접지되거나 미 접지 시에는 왜곡된 속도 신호가
입력되어 헌팅 등의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으니 반드시 접지시켜야 한다.
③ 단자 E와 F에 연결되는 배터리의 극성이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고, Battery(+)측과 단자 F 사이에
10A 퓨즈를 설치한다. 연결 후, 단자 간 전압이 DC24V(±4V)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자 E는 프레임에 접지시킨다. (⑩번 결선)
④ 그림과 같이 외부에 5㏀의 저항을 연결하여, 엔진 속도를 “설정속도±210Hz" 정도 범위에서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⑤ 12V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소비전류가 5A 이상의 액튜에이터를 사용할 경우,
단자 G와 H를 점퍼(연결) 시킨다.
⑥ "초기속도 모드" 와 "가동속도 모드"를 전환하는 선택 스위치
ON(연결) : 초기속도 모드 OFF(끊김) : 가동속도 모드
⑦ "DROOP(드룹)" 모드 선택스위치
ON(연결) : DROOP 모드 OFF(끊김) : Isochronous 모드
⑧ 병렬운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는 단자 N에 연결시킨다.
실드 전선을 사용한다.
⑨ ACCESSORY POWER SUPPLY : 정격 +10[V], 20[mA] POWER를 공급하는 단자 P는, 외부
보조기기의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단, 정격용량 범위내에서 이용해야하며 단락에 주의하고, 용량 초과시에는 콘트롤러에 치명적인
손상의 원인이 된다.
<주의> 오결선 및 배터리 전압의 이상은 컨트롤러에 치명적인 손상을 발생시키므로 사용 전 반드시
점검할 것.

9
▶마그네틱 속도 센서 장착 및 연결
•마그네틱 속도 센서와 링 기어 사이의 최적 간격은 0.45mm 정도이다. 이렇게 하려면 센서를 링
기어에 닿을 때까지 조인 후, 이를 다시 역방향으로 3/4회전 돌리면 적당한 간격을 얻을 수 있다.
•속도센서 신호는 운전 상태에서 단자 C-D간 전압(AC)을 측정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센서의 전압은 AC 3V 이상의 전압이 요구된다.
『그림3.』와 같이 외부에 속도 조정용 가변저항기를 연결하면 특정속도 범위에 걸쳐 엔진속도를
외부에서 원격(Remote) 조정할 수 있다. 표1.을 참조하여 요구되는 속도 범위에 따라 저항값을
설정하면 된다.
Remote 조정모드에서 엔진속도를 최소속도로 이용할 경우, 시스템의 불안정 및 부하에 따른 속도
감속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최소 속도 설정 상태에서는 ➐ Droop 조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DROOP의 양을 작게
설정(반시계 방향) 함으로써 엔진의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속도 설정을 최대로 한
상태에서는 DROOP의 설정값과 관계없이 가버너는 거의 Isochronous 상태로 동작한다.
속도범위 가변저항기 값 링 기어별 엔진 rpm 환산
160개 152개 146개
900 Hz 1K 337rpm 355rpm 370rpm
2,400 Hz 5K 900rpm 947rpm 986rpm
3,000 Hz 10K 1125rpm 1184rpm 1230rpm
3,500 Hz 25K 1315rpm 1381rpm 1438rpm
3,700 Hz 50K 1387rpm 1460rpm 1520rpm
표 1. 속도 범위에 대한 가변저항기 값
외부 속도 조정
▹ 부하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속도(정격속도)를
유지하는 상태
『 그림3 』

10
품 번 300611-00683 300611-00684 300611-00685 300611-00686
Overspeed
1725rpm
(기어잇수 160개기준)
2070rpm
(기어잇수 160개기준)
1725rpm
(기어잇수 152개기준)
2070rpm
(기어잇수 152개기준)
Run lamp
Maximum *CW Maximum CW Maximum CW Maximum CW
Crank lamp
Maximum CW Maximum CW Maximum CW Maximum CW
Gain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Stability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Mid-range
(12시 방향)
Starting Fuel
Full CW
(Maximum Fuel)
Full CW
(Maximum Fuel)
Full CW
(Maximum Fuel)
Full CW
(Maximum Fuel)
Speed Ramping
9시 방향 9시 방향 9시 방향 9시 방향
Droop
Full **CCW
(minimum) Full CCW (minimum) Full CCW (minimum) Full CCW (minimum)
Adjustment
(기어잇수 160개) (기어잇수 160개) (기어잇수 152개) (기어잇수 152개)
Speed Adjustment
4000Hz (1500rpm) 4800Hz (1800rpm) 3800Hz (1500rpm) 4053Hz (1800rpm)
Idle Adjustment
2133Hz (800rpm) 2133Hz (800rpm) 2026Hz (800rpm) 2026Hz (800rpm)
* CW (Clockwise) : 시계 방향 ** CCW (Counterclockwise) : 반시계 방향
『표2.』 출하시 조정 상태
DROOP 병렬 운전 모드(수동병렬)
•DROOP의 정의 : load 증가에 따른 speed setting의 감소.
DROOP(%) = (No Load Speed-Full Load Rated Speed)*100
Full Load Roted Speed
•DROOP의 목적 : DROOP은 발전기 사이의 병렬운전 시스템에서 Load Sharing(부하공유)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병렬시스템에서 Droop기능이 없을 경우, 발전기는 Overload 되거나 Motorizing이 될 수 있다.

11
•DROOP의 응용 : DROOP운전을 위해서는
1. K-L단자에 연결된 드룹 선택 스위치를 ON 시킨다.
2. DROOP 모드에서는 부하의 증가에 따라 속도는 감속되는데, "➐ Droop" 조정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DROOP의 양(%)을 결정 할 수 있다. 시계 방향으로 돌릴수록 감속 폭은 커진다.
(DROOP 양(%) 증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DROOP의 양은 10% 이내이며, speed DROOP 가버너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위해 요구되는 최소 DROOP의 양은 2.5% 이상이어야 한다.
DROOP 폭의 조정 정도에 따라 이미 설정된 정격속도의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엔진의 속도를
확인 후, 필요에 따라 속도를 재조정해야 한다.
AUXILIARY 단자 N은 부하 공유기(load sharing unit), 자동 동기장치(auto synchronizer), 또는
기타 다른 가버너시스템 보조기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단자이다. 결선시에는
실드(Shield) 전선을 사용한다.
단자 N에 보조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는 엔진의 속도가 떨어지므로 속도 조정 가변저항은 반드시
재설정되어야 한다.
제어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최고 주파수 상태에서 작동할 때에는 단자 G와 J 사이에 점퍼 선이나
주파수 조정 제어(frequency trim control)가 필요할 수 있다. 이 장치를 쓰면 속도 제어에 대한
수용 주파수 범위를 7,000Hz 이상까지 늘려준다.
•Power : BATTERY 전원이 연결되고 내부 컨트롤 전원(DC 12V)이 생성되었을 때 Lamp가
켜지며, 메인 컨트롤러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Pick Up : 단자 C-D에 입력되는 마그네틱 속도센서의 신호가 AC 3.0[V] 이상이면 Lamp가
켜진다.
•Crank : 설정된 정격속도(초기속도)에 도달되었을 때 Lamp가 켜지고, RELAY 가 동작된다.
•Run : 설정된 정격속도(가동속도)에 도달되었을 때 Lamp가 켜지고, RELAY 가 동작된다.
•Over Speed : 엔진속도가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되면 Lamp가 켜지고, RELAY가 동작되면서
Actuator 출력을 차단한다.
Accessory Input (자동병렬)
컨트롤러 LAMP 표시(진단) 기능

12
불안정성(Instability)
▶ 빠른 주기의 불안정성(Hunting)
SW D1 및 D2 의 응용 (그림1. 참조)
●
D1을 ON 위치에 놓으면 미분기능이 동작 된다.
●
속도(rpm) 변화에 대한 응답성을 높일 수 있어 속도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
외부 고주파 Noise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주기의 미세한 헌팅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럴 경우 D1을 OFF시키고 ➋ Gain 및 ➌ Stability를 재조정 한다.
●
그래도 불안정 현상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 기기의 SW D2를 OFF시키면 엔진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조치를 한 후에는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시 ➋ Gain과 ➌ Stability를 재조정한다.
그러면 불안정성의 감소 및 소멸에 도움을 준다.
▶ 느린 주기의 불안정성(Hunting)
느린 주기의 Hunting 요인은 많은 원인을 가지고 있으나 대개는 엔진마다 기계적 특성이 조금씩 달라
최적화된 튜닝(tuning) 상태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된다.
이런 Hunting은 컨트롤러 내부의 ➋ Gain 및 ➌ Stability 상태를 재조정하면 대부분 해결될 수 있다.
(앞 page의 조정 순서란 참조 - Page.4)
▶ 이상의 방법으로도 해결 되지 않으면
●
컨트롤러 자체 결함으로 인해 제어기능 상실 - 컨트롤러 교체해 볼 것.
●
외부 기계장치 결함 (액튜에이터, 연료분사장치, 터빈등) - 기계장치 교정.
시스템 고장진단

시스템의 미동작시
13
엔진 가버너 시스템이 정상 동작되지 않는 경우, 아래 표에 기술된 내용으로 테스트를 하면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 (-)는 측정기의 극성이다. 아래 표의 방법으로 테스트의 결과가
정상이면 액츄에이터나 액츄에이터 결선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를 점검하라.
단계 측정단자 측정시기 정상값 이상시 추정 원인 조치사항
1F(+) & E(-) E/G
정지시 DC 24V
1. 배터리 이상
2. 오결선
1. 배터리 라인 점검
2. 배터리 교체
2F(+) & E(-) 스타트
기동시 DC 15이상
3C & D E/G
정지시
테스터 저항계로
300~1200Ω
1. 속도 센서 결함
2. 속도 센서 결선의 손상
및 오결선 1. 센서 라인 점검
2. 속도 센서 교체
4C & D 스타트
기동시
테스터 AC전압계
측정시 1.5V 이상
1. 속도 센서와 링 기어간
의 간격이 너무 넓다.
2. 속도 센서 결함
5A & B E/G
정지시
테스터 저항계로
3.8~4.5Ω
1. 3.8Ω 미만 측정시는
라인간 단락 유무 확인.
2. 4.8Ω이상 측정시는
라인간 단선 유무 확인
3. Actuator 이상
1. Actuator 라인 단락 및
단선유무 확인.
2. Actuator 교체
6P(+) & G(-) KEY
S/W ON DC 9.5~10.5V 제어 장치 결함 Controller 교체
7F(+) & A(-) 기동시 정상시 DC 9~15V
이상시 DC 1~3V
1. 속도 설정이 낮음.
2. Actuator 결선의 단락
OR 단선
3. Actuator
1. 속도 설정 확인
2. Actuator 라인 점검
3. Actuator 점검 이상시
교체

DGC-2013
Governor Controller Unit

DGC-2013
Governor Controller Unit
September 2013 Ver. 1.00
Owner's Manual
SALE : DOOSAN A/S CENTER
82-31-400-2114
A/S : ENGINE TECH' SERVICE DIV.
82-32-211-1114

DGC-2013 is a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 designed to control engine speed
with fast and precise response based on PID algorithm. In this device, single operation
(Isochronous mode) and parallel operation (Droop mode) is possible.
Description
16
9 8 7 6 5 4 3 2 1
A B C D E F G H J K L M N P
Crank Run Over speed
Power Pick-up Crank Run Over speed Starting
Fuel
Speed
Ramping
Idle
Droop
Gain StabilitySpeed
Test
Battery
Actuator
Grounding
Bolt
Pick-up Speed Trim Droop
AUX 10V
Idle OFF
D1 D2
ON
Grounding
Bolt
[ Fig. 1] Wiring Diagram and Outline

• Mount the controller unit vertically to the surface of a control cabinet to protect from water
and high humidity, and do not expose the controller unit to the source of radiant heat. In the
case of extended exposure to humidity (for over a month or condensation problem), dry the
controller unit thoroughly before using as the number of rated turn could not be reached
from fluctuation in the resistance value of internal circuit resulting from humidity.
• Do not rely exclusively on the actuator function of electronic governor to prevent overspeed.
A secondary shutoff device such as a fuel solenoid must be used.
• It is recommended to use avg. setup range of each engine for setup section display of front
side of each adjustment resistance, and set engine within the setup section.
• EMC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To satisfy EMC requirements, the controller unit should be mounted on the grounded metal
side, and it is required to use shielded wires for all signal lines and ground all the shields to
one of the bolts used to mount the controller.
In addition, EMC related product quality issues that occur as a result of not foll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ensured.
<< Adjustment Mode Item Description >>
➊Speed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the operating speed of engine.
➋Gain adjustment resistance : Gain adjustment (sensitivity adjustment).
➌Stability adjustment resistance : Stability adjustment (responsiveness adjustment).
➍Starting Fuel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fuel amount while staring engine.
➎Speed Ramping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the time to reach the rate speed after starting engine
➏Idle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the initial speed of engine.
➐Droop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droop amount (%) in droop operation.
(Refer to "Droop Amount" - Page 24)
➑Dip Switch : Switch for adjusting differential function selection (Refer to "Instability" - Page 26)
➒Over Speed lamp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engine overspeed lamp & relay operation time.
➓Run Lamp adjustment resistance : Adjust engine operation lamp & relay operation time.
Crank Lamp : Adjust the initial speed display lamp & relay operation time.
TB1 : Terminal block for input & output.
TB2 : Engine overspeed relay contact output terminal (capacity - 2A/125VAC).
TB3 : Engine operating speed relay contact output terminal (capacity - 2A/125VAC).
TB4 : Engine initial speed relay contact output terminal (capacity - 2A/125VAC).
17
Mounting & Warning

18
Adjustment (Tuning) Order & Method
➍
➎
➏
➐
Starting
Fuel
Speed
Ramping
Idle
Droop
OFF
D1 D2
ON
➑
▹ The guide range of potentiometer resistance
▹ Adjustment range for potentiometer in front of CASE is the adjustment range for application
to Doosan Infracore engine.
▹ For potentiometer adjustment, use a small size (-) screw driver. (beware of potentiometer
damage)
▹ Make sure that all electrical connections are correctly made before starting engine.
▶
Engine Start Adjustment
1. G-M Terminal Connection (engine initial speed (Idle) switch ON).
2. ➍ Starting Fuel
• Adjustment objective : Adjustment for the most economical fuel
amount according to install engine mode.
• Recommended direction : 1~5 o'clock direction
• Adjustment problems : 7~1 o'clock direction could cause start up
error due to lack of fuel, and 5 o'clock and above direction could
lower fuel efficiency with significant exhaust.
3. ➎ Speed Ramping Adjust potentiometer to 9 ~ 12 o'clock direction.
• The time to reach run speed prolongs upon turning clockwise
direction ( ). (max. over 10 sec)
• Overshoot and hunting could occur at rapid speed if adjustment value
is too small.
4. Start cranking the engine : Operate Start motor cranking.
▶
Adjustment of Engine Operating Speed & Initial (Idle) Speed
5. Adjust engine operating speed (frequency).
• After engine crank up, remove G-M terminal connection. (Idle switch OFF)
• In no load status, adjust speed (frequency) to ➊Speed potentiometer.
Clockwise direction ( ) RPM increa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 ): RPM decrease
6. Idle speed adjustment.
• With Idle switch ON again, adjust speed to 800 rpm by using ➏Idle potentiometer.
• Adjustment objective : Adjust initial fuel amount during cranking and engine warm up
after cranking the engine.
• Recommended direction :12~3 o'clock direction. 800 RPM is recommended for engine
RPM even though there is difference in direction depending on engine type and rated RPM.
• Adjustment problem : Initial start up function is deteriorated with excessive fuel
consumption during warm up.

19
◈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dle speed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engine
start-up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dle speed after adjusting rated
speed regardless of the use of "idle mode".
▶
Governor Characteristic Adjustment
7. After removing G-M terminal connection (with idle switch OFF), adjust after engine reaches
the RUN speed.
8. Gain adjustment.
• In no load status, turn clockwise ( ) ➋Gain potentiometer until
the engine becomes unstable.
• Slowly turn ➋Gain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and
stop at position where RPM is most stable.
• For stability, further turn ➋Gain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about 20 min (10°)
for stability.
9. Stability adjustment.
• In no load status, turn ➌Stability potentiometer clockwise ( ) until the engine becomes
unstable.
• Slowly turn ➌Stability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and stop at position where
RPM is most stable.
• For stability, further turn ➌Stability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for about 20 min (10°).
▶
Accessory Adjustment
10. Adjust Run Lamp ON time.
• At the rated speed, turn ➓Run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until the lamp is turned on.
• To prevent the flickering of lamp (on/off phenomenon during load
change when set at rated speed), further turn counterclockwise for
about 90°.
11. Adjust Crank Lamp ON time.
• At the idle speed, turn Crank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until Idle Lamp is
turned on.
• To prevent the flickering of lamp (on/off phenomenon during load change when set at rated
speed), further turn counterclockwise for about 90°.

20
12. Adjust Overspeed Lamp ON time.
• At the rate speed, while pressing Test button ( ), slowly turn ➒ Over Speed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until Overspeed Lamp is turned on and the engine
shuts off.
• With the above adjustment, the overspeed function is set at about 15% higher speed.
※ After completing every adjustment, start the engine once again 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at engine start up, at no load and at load.
▶
Starting Fuel Adjustment (minimizing exhaust fumes)
• Idle switch ON
→
Adjust idle speed to 800 RPM
→
Turn
➍
Starting Fuel potentiometer
counterclockwise ( ) until the speed drops
→
For stability, turn once again clockwise
() for about 15°
• If exhaust fumes are within tolerance level, it is recommended to set
➍
Starting Fuel
higher than 5 o'clock. If it is set too low, it may be difficult to start the engine and could
cause speed overshoot after start-up, thereby exceeding the preset overspeed value.
▶
When Engine Does Not Start
• If there is no problem with wiring,
→
revert every adjustment value to "factory set
values". (Refer to Table 2. - Page 24)
→
Start the engine once again
• If the problem is not resolved: replace the controller since the problem may be due to
controller hardware error.
Table of contents
Languages:
Other Doosan Control Unit manuals
Popular Control Unit manuals by other brands

Profi-pumpe
Profi-pumpe PSM01142VK operating instructions

Comelit
Comelit VEDOGSM4G Technical manual

Rodix
Rodix FEEDER CUBE FC-112 Plus manual

Spirax Sarco
Spirax Sarco M10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structions

Kermi
Kermi x-net connect installation instructions

Command Center
Command Center SRM Data Collection Guide

Land Pride
Land Pride L02 Assembly instructions

TRIB
TRIB airCap HR user manual

Honeywell
Honeywell 2MLL-PSRA user guide

Burkert
Burkert 3320 quick start

elsner elektronik
elsner elektronik MSG1 compact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installation instructions

SMART Embedded Computing
SMART Embedded Computing COMX-P2020 BSP Installation and use